소장품검색

자기

명기 明器 이미지
명기 明器

유물소개

시대 : 조선(1540년)
크기 : 높이0.7~7cm

유물해설

죽은 사람을 장사지낼 때 함께 묻었던 껴묻거리이다. 이는 죽은 자가 사후에도 생전의 삶과 같은 생활을 계속한다는 믿음에서 비롯되었다.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에 걸쳐 만들어졌는데, 삼국시대에는 토기,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자기를 만들어 부장하였다. 삼국시대에는 굽다리접시․목항아리․인형․마형(馬形) 등 각종 형태의 명기가 조그맣게 만들어졌으며, 고려시대에는 생활용기로 대신하는 예가 많았다. 조선시대에서는 사발, 접시, 합, 병, 항아리, 대야, 남녀종, 주인, 말 등이 조그맣게 만들어져 묘지석과 함께 부장되었다.
이 명기들은 아름답게 발색된 순백자로, 가는 모래 받침을 받쳐 구운 흔적이 남아 있다. 박윤량(朴允良:1479-?)의 무덤 이장 때 출토된 것을 19세 종손 박성철이 기증하였다.

담당부서 정보 & 컨텐츠 만족도 조사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표시

담당부서 정보

  • 담당자오죽헌・시립박물관 최충희
  • 전화번호033-660-3614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표시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