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열병

돼지열병이란?

돼지열병은 고열·식욕결핍·설사나 변비·피부청색증 및 뒷다리를 잘못 쓰거나 비틀거리는 증상을 나타내며 한번 발생하면 치료방법이 없고 감염된 돼지는 전부 죽게 되는 돼지 질병 중 가장 무서운 질병으로서 국제수역사무국(OIE)에서 A급으로 분류하고 있고 가축전염병예방법에서도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여기는 악성전염병이다.

병원체의 특징

돼지열병 바이러스는 FLAVIVIRIDAE PESTIVIRUS속에 속하며 SIZE는 약40~50NM로 현재까지 1개의 혈청형이 보고 되어있다. 돼지열병 유전자는 POSITIVE SENSE SINGLE STRANDED RNA로 크기는 12.3KB정도 되며 한 개의 단백질 암호코드로 약3900 아미노산을 합성하여 바이러스 단백질을 구성한다. 단백질은 NPRO, CAPSID, ERNS, E1, E2, P7, NS2, NS3, NS4A, NS4B, NS5A 및 NS5B로 구성되어 있다.
돼지열병 바이러스는 5’NCR(NON-CODING REGION), E2 및 NS5B유전자 SEQUENCE를 비교하여 3가지의 유전자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바이러스 단백질 중 E2 단백질은 CSFV의 외피를 구성하며 바이러스를 중화하는 항체를 생성하는데 관여하는 주요한 방어 항원으로 알려져 있다.

잠복기간

잠복기는 보통 6~11일 정도이나 20~30일 또는 그 이상 가는 경우도 있다. (OIE 기준 40일)

전염 및 전파경로

감염경로는 주로 소화기와 호흡기이며, 침입한 바이러스는 편도, 림프절, 실질장기의 세포 등에서 증식하며 독혈증을 일으키고, 태반감염도 된다. 또한 병든 돼지의 분변으로 많은 양의 바이러스가 배출된다.

돼지열병 증상

  • 전염력이 매우 강하며 일단 감염된 돼지는 연령에 관계없이 거의 폐사하게 된다. 감염된 돼지의 체온은 40~42°C로 오르며, 원기가 없어지고 식욕이 감소하고, 나중에는 전혀 먹지 않게 된다. 외부의 자극에 대한 반응이 둔해지고 또한 오한증세 때문에 여름에도 병돈은 서로 포개어 누워있게 된다.
  • 발병 초기에는 변비가 생기며 후기에는 설사를 하고 눈이 충혈되며 눈꼽이 낀다. 발병 후 수일이 지나면 뒷다리를 못쓰게 되어 비틀거리며 잘 걷지 못한다. 피부 특히 네다리, 배, 귀 등은 암적색 또는 자색으로 변하며 피모는 거칠어 진다. 말기에는 체온이 떨어지면서 죽게 된다.
  • 임신한 모돈이 감염될 경우 바이러스는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에 감염하며 태아 일령에 따라 재흡수, 유산, 사신 및 허약자돈 분만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증상에 유형에 따라 급성형과 만성형으로 구분된다.

임상증상

  • 초기증상으로 눈이 충협되고 눈꼽이 기며 가끔 기침을 함
  • 초기에 열이 나고 사료를 먹지 않으며 여러마리가 포개어 잠을 잠
  • 발병 후기에는 귀와 몸에 붉은 반점이 나타남
  • 후기증상으로 뒷다를 잘 못 쓰고 비틀거림
  • 전형적인 발증군에서 나타나는 설사로 인한 엉덩이의 수양성설사
  • 말기증상으로 초기의 변비에서 경과된 황회색의 수양성설사

급성형 돼지열병

  • 돈군에 돼지열병이 처음 발생할 때에는 단지 몇 마리의 돼지에서만 임상증상을 보이며 식욕결핍, 후구마비 등 신경 증상 또는 혼수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 돼지열병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6일 이내 체온이 42°C까지 높아지나 독력이 약한 돼지열병 바이러스에 감염된 돼지의 경우에는 체온이 그렇게 높지 않을 수도 있다.
  • 초기 증상으로 눈꼽이 끼고 변비증상이 나타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황회색의 수양성 설사를 하게 된다.
  • 감염 돈군의 돼지는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모여 있거나 포개어 있으며 오한을 느끼는 것철머 보인다.
  • 백혈구 수는 전형적으로 혈액 MM2당 보통 3,000~9,000까지 낮게 나타난다. 그러나 감염후기에 살모넬라 및 라스튜렐라가 혼합 감염되면 백혈구 증가증이 나타날 수 있다.

안내사항 전형적인 돼지열병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 경험이 없는 생산자나 기타 사람들은 돼지열병을 쉽게 확인 할 수 없기 때문에 비전형적인 형태의 돼지열병은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만성형 돼지열병

  • 만성형 돼지열병은 약독 돼지열병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에 발생되면 흔히 위축돈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 몇 주 후 일반적으로 식욕과 임상증상이 호전되는 것 같지만 경과할 수록 많은 돼지가 병이 재발하거나 폐사한다.
  • 약독 돼지열병 바이러스에 감염된 돼지 중에서 17주까지 생존하며 어떤 경우는 21주까지도 생존할 수 있다. 이러 경우 일반적으로 백혈구 감소증이 지속된다. 그러나 다른 세균성 질병 등에 혼합감염 되면 백혈구 증가증이 나타난다.
  •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어떤 돼지는 노란색을 띤 담즙색 액체를 토해내거나 또는 피부의 진전증상이 관찰된다.
  • 많은 경우에는 흐느적거리거나 비틀거리는 걸음걸이가 특징인 현저한 신경증상을 보인다.
  • 수 주 동안 생존한 돼지는 낮은 정도의 발열, 백혈구 감소증과 전반적으로 외관상 일시적인 호전을 보이다가 식욕감소, 침울, 설사, 체온상승 그리고 폐사로 진행되는 전형적인 만성돼지열병 증상으로 발전된다.

병리/조직소견

  • 비장의 출혈성 경색
  • 신장의 정상출혈
  • 대장장점막의 단추양궤양
  • 방광점막의 출혈반
  • 편도 음와상피세호의 바이러스항원(항광항체법)
  • 대뇌의 혈관주의 세포침용과 수교세포의 첨윤 등에 의한 비화농성 뇌염(H-E염색)

급성형 병변

  • 처음 심급성으로 폐사한 돼지에서는 돼지열병 병변이 거의 나타나지 않거나 전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 돼지열병에 감염된 임신모돈에서 미이라나 사산이 관찰될 수 있다. 감염 태아는 부종성이며 복수가 차고 두부와 사지기형, 피부 및 각종 장기의 점상출혈, 그리고 폐와 소뇌 형성부전 등이 나타난다.
  • 귀, 복부 및 서혜부 드으이 피부에 자반이 나타나며 이를 손가락으로 눌러보면 자주색 변색이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 일반적으로 비장에는 점상·반상출혈 및 출혈성 경색이 관찰된다.
  • 각종 림프절은 병리학적 변화가 처음으로 나타나는 내부 장기이다. 림프절 가장자리 부위에 수종 및 출혈 소견이 관찰된다.
  • 종종 관찰되는 병변으로 편도선과 인후두부위의 괴사 및 출혈, 그리고 심장, 방광 등 각종 장기의 점·반상 출혈과 대장(종종 결장 부위)에서 단추상 궤양이 관찰되기도 한다.
  • 신장 출혈은 급성 돼지열병의 다른 어떤 병리학적 변화보다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 출혈은 점상 및 반상으로 신장의 피막하 표면에 발생하며 드물게 신추체(PYRAMD)와 신문(HILUS)에도 나타난다.
  • 급성 또는 아급성 돼지열병에 걸린 일부 돈군에서는 어느 정도의 폐충혈과 급성 기관지폐렴을 보인다.
  • 종종 돼지열병 부검소견이 살모넬라증, 톡소플라즈마 감염증 및 돈단독 등과 유사하므로 실험실 확진을 받아야 한다.

만성형 병변

  • 약돈 돼지열병 바이러스에 감염된 돼지에서 주로 관찰되는 병변은 림프절이 종대되고 창백하며 습윤해 보이는 것이다.
  • 신장에 가끔 심한 점상 또는 반상출혈이 나타난다.(TURKEY EGG KIDNEY)
  • 만성 돼지열병 병변은 급성의 경우와 비슷하나 덜 심한 편이다. 만성으로 감염된 돼지는 출혈이 거의 없이 폐사하고 종종 맹장과 결장에 단추상 궤양이 있다. 만성 병변으로 괴사상 장염과 기관지폐렴이 흔히 나타난다.

진단체계

하단참조
  • 0시간 - 의심돼지 신고, 발견
  • 6시간 - 임상검사
  • 12시간 - 부검 및 가검물채취
  • 36~48시간 - 임상, 병리조직검사
이미지 확대보기

감별진단

AFRICAN SWINE FEVER가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돼지열병과 감별진단이 극히 어렵고 돼지단독과의 감별진단도 필요하다.

병리

병리학적 변화는 유행하고 있는 바이러스의 병원성의 강도, 감염후의 경과의 장단, 2차감염이나 톡소플라즈마 원충 등의 감염에 영향을 받는다.

해부 소견

체표의 차반, 림프절의 종대와 출혈, 비장의 출혈성 경색, 호흡기나 비뇨기 및 소화기의 점막 면과 장막 면에 점상 도는 반상출혈이 보인다. 실질장기의 종창은 인정되지 않는다. 경과가 긴 예에서는 폐렴, 위장염, 대장에 보탄상 궤양(BUTTON ULCERS)이 고율로 나타나다.

병원 및 혈청학적 진단

바이러스 검출, 형광항체법에 의한 바이러스 항원의 검출, 겔내확산침강반응에 의한 바이러스 항원의 검출에 의하여 진단할 수 있다.

예방접종

적기적에 예방접종 프로그램에 의해 접종실시

예방접종 - 접종방법, 접종대상,1차접종 ,2차접종,보강접종,접종경로
접종방법 접종대상 1차접종 2차접종 보강접종 접종경로
포유전 접종법
(발생농장)
무포유신생자돈 포유전 - 매년1회 근육
자돈접종법 이유자돈 포유전 생후 8~9주령 매년1회 근육
모돈 (성돈) 모돈 종부 2~4주전 매년1회 근육

예방대책

차단방역 철저

돼지열병바이러스가 양돈장으로 들어 올 수 있는 주요한 원인은 도축장 출하차량, 사료차량, 돼지 수집상, 외부인의 양돈장출입 그리고 감염상태에 있는 돼지의(잠복감염돈) 구입 등이며, 농장 출입 차량 및 인원 통제 및 소독을 강화하고 구입돈에 대해서는 소독, 격리, 치료 관리 후 합사를 한다.

정기적인 혈청검사

양돈장내 돼지에 대해 정기적인 혈청검사를 의뢰하여 돼지열병 항체 역가를 측정하여 기준치 이상의 항체보유 모돈에 대해서는 조기 도태를 추진하여 농장내 돼지열병 감염 요소를 제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