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습

김시습
김시습
김시습
  • 본관강릉(江陵)
  • 매월당(梅月堂), 동봉(東峰),벽산(碧山)
  • 활동분야문학
  • 주요저서금오신화(金鰲新話),매월당집,십현담요해
  • 출생년도1435년
  • 사망년도1493년

1435년(세종17년) 서울에서 출생하였으며, 본관은 강릉, 자는 열경(悅卿), 호는 매월당·동봉(東峰), 법호는 설잠(雪岑)이다.

천재의 자질을 타고나서 3세에 벌써 글자를 알아 시를 지었으며, 5세 때는 「중용」과 「대학」에 능했다 한다.

세종대왕은 승지를 시켜 그의 재주를 시험해 보도록 한 다음 상을 내리고 "장차 크게 쓰겠노라"고 하였으며, 세상에서 그를 "오세"라고 일컫게 되었다.

21세 때 삼각산 중흥사(重興寺)에서 공부를 하던 중 수양대군의 왕위찬탈 소식을 듣고 그는 3일을 통곡한 끝에 머리를 깎고 중이 되어 10년 동안 전국을 유랑하였으며, 이 여행의 견문과 정회를 담은 기행시집인 「매월당시 사유록(梅月堂詩 四遊錄)」을 남겼다.

31세 때부터 경주의 남산(일명 금오산)에 금오산실(金鰲山室)을 짓고 정착하였으며, 이 시기에 최초의 한문소설로 불리우는 「금오신화」를 창작하였다.

37세(성종 2년) 때는 상경하여 수락산 기슭에 폭천정사(瀑泉精舍)를 세우고 몸소 농사를 지어 생계를 영위하며 살아갔다. 47세 때 환속을 하여 결혼을 한 일이 있었으나 이듬해 폐비윤씨 사건이 일어나자 다시 관동지방 등으로 방랑의 길에 나섰다.

49세(성종 14년) 때 그가 서울에 오자 주변에서 벼슬하기를 권했으나 그는 정치현실이 근본적으로 옳은 방향을 취하고 있다고 보지 않아 현실참여를 완강히 거부하였고, 실의와 좌절감에 사로 잡혀 기행을 저지르기도 하더니 마침내 다시 현실권을 떠났다.

그는 소양호 주변의 청평사, 설악산 등지에서 한동안 머물렀고, 다시 강릉지방에서 배회하다가 마침내 충청도 홍성 무량사(無量寺, 현 충남 부여군 의산면)로 가서 그곳에서 세상을 마쳤다. 그 때 59세(성종 14년)였으며 무량사에는 그의 부도(浮圖)가 남아 있다.

그는 유교와 불교에 걸치는 학자로서 사상서 저술은 「매월당집」의 문고(文稿)에 수록되어 있으며 불교관계 저술로는「십현담요해(十玄談要解)」「묘법연화경별찬(妙法蓮華經別讚)」이 전하고 있다.

그는 우리나라 사상사에서 우주 만물의 본질과 현상에 대한 체계적 설명을 시도한 최초의 철학자로 볼 수 있다. 만유의 존재를 해명하는 논리로 기(氣)를 제기함으로써 서경덕에서 최한기로 발전한 우리나라 기철학을 열어 놓았다.

그의 한시작품은 모두 15권의 분량에 이르고 있으며 시세계는 자연과 인간 만사로부터 천재의 자유분방한 상상력에 이르기까지 담아내지 않은 것이 없다할 정도로 방대하고 풍부한데 그 사회사상의 시적 표현은 현실주의 문학의 빼어난 성과로 평가할 수 있다.

「금오신화」는 나말여초에 발생했던 전기소설(傳奇小說)을 계승 발전시킨 형태로 5편의 단편소설이 수록되어 있다. 특히 작가의 심오한 인간정신, 고도의 상상력이 어울어져서 각기 개성적이고 예술성이 높은 작품으로 완성된 것이다.

김시습은 시대와 불화했던 체제밖의 지식인이었다.

그의 고결한 인품, 굳센 지조는 후세에 기리 존경을 받게 되었으니 선조는 특별히 율곡 이이에게 그의 전기를 짓도록 하는 한편 「매월당집」을 발간하도록 명했고, 정조는 청간공(淸簡公)이란 시호를 내려 그 풍모를 기렸다.

담당부서 정보 & 컨텐츠 만족도 조사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표시

담당부서 정보

  • 담당자문화유산과 박현주
  • 전화번호033-640-5576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표시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